이커머스는 판매량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동적 재주문점(Dynamic Reorder Point) 방식으로 재고수가 일정 레벨 도달했을때 발주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재고관리가 가능합니다.
ROP(Reorder Point, 재고가 특정 레벨에 도달하면 발주) 방식이기는 하지만 발주점에 해당하는 재고 레벨을 특정해놓지 않고 동적인 판매량을 고려하는 방식입니다. 판매량이 바뀌면 동일한 LT(LeadTime, 주문~입고에소요되는시간)나 안전재고 기간이라고 하더라도
일평균 판매량 X (LT+언전재고기간) = ROP
이 원리로 ROP 가 변경되는 것입니다.
발주 방식 기본 개념
크게 정량 발주 방식과 정기 발주 방식으로 나뉩니다.
1. 정량 발주 방식 (고정 주문량 방식, Fixed Order Quantity System)
재고 수준이 미리 정해둔 특정 시점(재주문점, ROP)에 도달했을 때, 항상 일정량(경제적 주문량, EOQ)만큼 발주하는 방식입니다.
- ROP (Reorder Point, 재주문점) 방식: 질문하신 방식입니다. 재고가 특정 수준(ROP)에 도달하면 정해진 양만큼 주문합니다. 재고 확인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2. 정기 발주 방식 (고정 주기 방식, Fixed Period System)
일정한 주기(예: 매주 월요일, 매월 1일)로 재고 수준을 확인하고, 다음 주문 시점까지의 예상 수요를 고려하여 목표 재고 수준에 도달하도록 가변적인 양을 발주하는 방식입니다.
- 정기 발주 방식의 특징: 주문 시점은 고정되어 있지만, 발주량은 매번 달라집니다. 재고 확인이 주기적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없습니다.

.png)
.png)


